본문 바로가기

열등감

(5)
예스24 마음달 인터뷰 '저서 나를사랑하는일에서툰당신에게' 채널예스의 이수연 기자님이 작성한 11월 26일 합정동에서 열린 북 토크 관련 기사입니다. 월요일 저녁상 담을 내담자의 양해를 구해 일요일에 하고 월요일 합정까지 가는 길은 1시간 반이 넘었습니다. 사람이 너무 많아서 지하철을 한 번 놓치고 온 길이었습니다. 직접 인터뷰도 아닌 작가와 독자와의 만남을 인터뷰하는 것이 제대로 전달이 될까 걱정이 되었습니다. 대학생인 이수연 기자님께 원고를 꼭 보내달라고 부탁했고요. 가능한 전공 용어를 쓰지 않으려고 하지만 비전공자가 이해하지 못하는 용어들이 쓰이기 나름이고 제대로 잘 전달되었으면 해서요. 기자님이 원고를 월요일 보내주셨고 좀 더 필요한 설명이 필요한 부분들을 이야기했습니다. 저의 이야기를 제 이야기를 잘 들어주어서 참 감사했습니다. 가능한 어느 누구도 해를..
[찌라살롱 북토크]나를 사랑하는 일에 서툰 당신에게 북 토크를 했다. 출간한 지 2주 만에 중쇄를 찍었다.(책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집을 출판사가 아닌 합정역 카페에서 했고 음료수비랑 장소대여비로 인해유료 북토크였다. 진로, 정서문제, 열등 감등의 주제로 나눔을 했다. 모두들 눈을 반짝이고 들으셨고 몇 개의 질문이 오고 갔다. 북 토크가 마치고 책 사인 시간에 와서부터 많은 이야기를 하려고 하셨다. 전 상담자에 대한 불만, 현 상담자에 대한 아쉬움, 심리학자로서의 미래 궁금증 등등이 있었다. 아마도 누군가에게 얘기하고 싶었던 것 같다.소규모의 모임에 밤 늦게 찾아주셔서 감사했다. 책을 내고 난 뒤로 쉬는 날 없이 달려왔다. 책읽찌라 인터뷰, 교보문고 인터뷰, ebs 행복한 교육세상 출연, 소모임, 북 토크 이제 다 끝이 났다. 많은 시간을 들여온 것 ..
[마음달처방전]열등감으로 힘듭니다. 아들러 학파에서는 인간의 정신발달은 6세 때부터 가상의 자기상이라는 이상적인 목표를 형성한다고 합니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발달형성이 초기에 이미 이루어진다고 보는 반면, 아들러 학파는 인간의 삶 전체를 아울러 총체적, 전체적으로 이루어지는 목표지향적이고 의식적인 인간관을 주장합니다. 인간이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데 있어 ‘열등감’이라는 핵심개념을 내세우는데 이 열등감은 상대적인 것이 아닌 부적인 자아를 정적인 자아로, 낮은 자기에서 높은 자기에로의 극복을 의미하며 이 열등감 극복을 하는 과정에서 인간은 성숙, 발전할 수 있다고 봅니다. 열등감은 누구에게나 있지만 그 열등감을 극복하는 과정은 스스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브런치의 제 글입니다.https://brunch.co.kr/@maumdal/84 copy..
내 인생만 부족한 것 같을 때 “선생님, 상담만 받으면 자존감이 쑥쑥 올라가는 게 맞죠?” 수많은 자기계발서를 읽으면서 잠시나마 자존감이 올라간 것 같지만 금세 좌절해버리는 사람들을 만난다. 그들은 자존감이 낮다며 높여달라고 이야기한다. 항상 세상의 평가에 자신을 끼워 맞추느라 끊임없이 애를 썼다고도 말했다. 그렇게 하다 보면 언젠가는 자존감이 향상되리라 믿었다. 성적을 올리기 위해 노력했으나 중간만 맴도는 시험점수, 대기업에 입사한 친척 이야기에 불현 듯 찾아오는 열등감…… 최선을 다했지만 나 혼자만 왜 이리 꼬이는 건지, 그렇게 내 인생만 부족한 것 같을 때가 누구나 있다. 대다수가 모든 부분에서 완벽하고자 한다. 이미 평균 이상으로 퍼펙트함에도 불구하고. 직장에서 꼼꼼하게 일하며, 타인에게 늘 친절하다. 타인을 의식해 너무 잘하..
열등감이 발목을 잡을 때 나만 힘들고 서글픈 것 같을 때가 있다. 키가 작아서, 뚱뚱해서, 공부를 못해서, 못생겨서 엄마의 사랑을 받지 못해서, 출신학교가 내세울게 없어서 그렇게 말한다. 내 꼬락서니만 초라한 거 같을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이렇게 말한다. 열등감 때문에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지금은 어떻게 할 수 없다고 말이다. 그러나 자기연민은 먹을수록 독이다. 당신에게만 열등감이 있는 것은 아니다. 열등감은 누구에게나 있다. "미움받을 용기"로 알려진 아들러는 열등감이 더 나은 자신을 추구하기 위한 동기가 된다고 한다.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 즉 보상을 하기 위해서 노력한다는 것이다. 우월감을 추구하기 위해서 즉 탁월함을 위해서 나아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금 자신의 부족함을 이해하고 수용..